천안김안과본점소개
특별함
노안 · 백내장
노안 · 백내장 수술
레이저 백내장 수술
천안역본점의 안구건조증
커뮤니티
천안김안과본점 소개
병원소개
HI 미션 · 비전
의료진소개
진료안내
층별안내
장비소개
비급여안내
특별함
특별함
노안 · 백내장
노안 · 백내장
노안 · 백내장 수술
노안 · 백내장 수술
인공수정체
레이저 백내장 수술
레이저 백내장 수술
레이저 백내장 수술 장비
천안역본점의 안구건조증
천안역본점의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 치료
커뮤니티
안과소식
환자후기
이벤트
온라인상담
간편예약
천안김안과본점소개
노안 · 백내장
노안 · 백내장 수술
레이저 백내장 수술
천안역본점의 안구건조증
커뮤니티
오시는길
노안백내장
수술클리닉
시력교정클리닉
드림렌즈
녹내장·망막
안질환클리닉
천안김안과
본점
오시는길
예약하기
천안김안과 본점
카카오채널
드림렌즈
카카오채널
위화살표

CONTACT

상담하기
오시는길
천안김안과 본점
카카오채널
드림렌즈
카카오채널
예약하기
CHEONAN KIM’S EYE CLINIC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의료진 소개
정도현
대표원장
김혜진
대표부원장
이정우
원장
문치영
원장
정세윤
원장
한선협
원장
정도현
대표원장
스마트라식
ICL
학력 / 경력
삼성의료원 삼성서울병원 안과 수련의 수료
삼성의료원 삼성서울병원 안과 전공의 수료
성균관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안과 외래교수
제10 전투비행단 항공의무실장 및 안과 과장 역임
현) 서울삼성병원 안과학교실 총동문회장
현)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대표원장 (2005년부터 근무)
고) 김경길 천안김안과 설립원장 백내장 수술 집도의
학회활동
대한안과학회 (KOS) 정회원
미국안과학회 (AAO) 정회원
한국외안부학회 (KEEDS) 정회원
한국콘택트렌즈학회 정회원
한국안성형학회(KORPRS) 정회원
한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KSCRS) 정회원
유럽 백내장굴절수술학회 (ESCRS) 정회원
미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ASCRS) 정회원
김혜진
대표부원장
스마트라식
드림렌즈
녹내장
학력 / 경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의과대학장상 수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졸업 (안과학, 석사과정)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인턴 수석 수료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안과 전공의 수료
서울의대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녹내장 분과 연구임상강사 수료
서울의대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녹내장 분과 전임의 수료
뉴욕 콜롬비아대학교 Edward Harkness Eye center, Dr. Lama Al-aswad 녹내장 클리닉 clerkship 수료
천안 지역 최다 녹내장 SCI 논문 보유
- 2017년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녹내장 클리닉 진료개시; 천안/아산지역내 의원급 녹내장 클리닉 최초 개설
- 2019년, 2021년, 2023년 한국녹내장학회 주관 '녹내장 바로알기' 강연회 천안/아산지역 단독 개최 (대학병원 포함 유일)
- 2019년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ASCRS) 녹내장부분 베스트 포스터상 수상; 거짓비닐증후군환자에서의 백내장 수술후 안압하강정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병원 박기호교수님 책임저자)
- 2021년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ASCRS) 녹내장부분 e-포스터 발표; 다이어트약 복용후 발생한 급성폐쇄각녹내장 케이스 보고
- 2023년 천안/아산지역 녹내장 마이크로스텐트 Xen 최다 수술
학회활동
한국녹내장학회 정회원
아시안급성녹내장학회(AACGC;Asian Angle Closure Glaucoma Club) 정회원
대한안과학회 (KOS) 정회원
미국안과학회 (AAO) 정회원
한국외안부학회 (KEEDS) 정회원
한국콘택트렌즈학회 정회원
한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KSCRS) 정회원
미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ASCRS) 정회원
논문
Kim HJ, Kim JS, Na KI, Kim YK, Park KH, Jeoung JW.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of Bleb Needle Revision With and Without 5-Fluorouracil for Failing Trabeculectomy Bleb. J Glaucoma. 2019 May;28(5):386-391.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의 지원하에 이루어진 임상연구로, 녹내장 수술 후 5-FU 라는 약제를 이용한 여과포 needling 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한 논문

Kim HJ, YK Kim, Park KH. Effect of Phacoemulsification on Intraocular Pressure in Pseudoexfoliative Eyes with or without Glaucoma over 3 Years. 2019년 ASCRS (Americ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발표.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백내장 수술이 안압하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문으로 미국의 2대 안과학회 중 하나인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에서 “녹내장 분야 베스트 포스터상 세계 3위”를 수상하여 live presentation  초청받음.

Kim HJ, Park KH, YK Kim, JW Jeoung. Evaluation of Layer-by-Layer Segmented Ganglion Cell Complex Thickness for Detecting Early Glaucoma According to Different Macular Grids. Journal of glaucoma. 2017 Aug;26(8):712-717. 초기 녹내장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황반부 신경절세포층 두께 측정법의 정확도를 황반부 면적에 따라 평가한 연구.

Lee WJ, Kim HJ, Park KH, Kim YW, Girard MJ, Mari JM, Kim SK, Phi JH, Jeoung JW. Change in Optic Nerve After Intracranial Pressure Reduction in Children. Ophthalmology. 2017 No;124(11):1713-1715. 뇌압상승에 따른 시신경의 3차원적인 구조적 변화를 세계 최초로 연구한 논문. 서울대학교 신경외과 의료진과 공동 연구하여 뇌압의 변화에 따른 시신경의 동적인 변화를 안구광학단층촬영으로 평가함.

Kim YK, Ha A, Na KI, Kim HJ, Jeoung JW, Park KH. Temporal Relation between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Loss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Loss in Glaucoma. Ophthalmology. 2017 Jul;124(7):1056-1064. 녹내장안에서 황반부 신경절세포층 소실과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소실 사이의 시간적 선후관계에 대한 최초의 논문.

Kim HJ, Jeoung JW, Yoo BW, Kim HC, Park KH. Patterns of glaucoma progression in retinal nerve fiber and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i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pn J Ophthalmol. 2017 Jul;61(4):324-333. 안구광학단층촬영으로 분석한 황반부 신경절세포층의 변화를 통해 녹내장의 구조적 진행을 평가한 논문.

Kim HJ, Song YJ, Kim YK, Jeoung JW, Park KH. Development of visual field defect after first-detected optic disc hemorrhage in preperimetric open-angle glaucoma. Jpn J Ophthalmol. 2017 Jul;61(4):307-313. 임상적으로 시신경 출혈이 관찰된 후 시야이상이 나타나기까지 녹내장의 진행에 관해 장기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

Kim YK, Yoo BW, Jeoung JW, Kim HC, Kim HJ, Park KH. Glaucoma-Diagnostic Ability of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Difference Across Temporal Raphe in Highly Myopic Eye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16 Nov 1;57(14):5856-5863. 녹내장 진단 평가가 어려운 고도근시에서 녹내장 진단의 새로운 기준으로 황반부 이측 망막신경절세포층 두께 측정법을 제사한 연구.

Kim HJ, Lee SY, Park KH, Kim DM, Jeoung JW. Glaucoma Diagnostic Ability of Layer-by-Layer Segmented Ganglion Cell Complex by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16 Sep 1;57(11):4799-4805. 황반부 신경절세포층 두께 측정을 이용한 새로운 녹내장 진단 평가법을 제시한 연구.

Kim HJ, Choi DG. Consecutive esotropia after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the clinical cours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nset. Br J Ophthalmol. 2014 Jul;98(7):871-5.

Kim HJ, Choi DG. Clinical analysis of childhood intermittent exotropia with surgical success at postoperative 2 years. Acta Ophthalmol. 2016 Mar;94(2):e85-9.

Kim HJ, Yi K. Comparison of Intraocular Pressures According to Position Using Icare Rebound Tonometer. J Korean Ophthalmol Soc 2014 Jul;55(7):1049-1055.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서 안압 측정이 가능한 새로운 리바운드 안압계의 정확성과 체위 변화에 따른 안압의 변화에 관한 최초의 연구.

Kim HJ, Kim D, Choi DG. Long-term outcomes of un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versus recess-resect for intermittent exotropia of 20-25 prism diopters. BMC Ophthalmol. 2014 Apr 8;14:46

Kim D, Kim HJ, Hyon JY, Wee WR, Shin YJ.  Effects of oral mucolytics on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Cornea. 2013 Jul;32(7):933-8.

Kim JH, Kim HJ, Choi DG. Contra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versus recess-resect for recurrent exotropia after unilateral recess-resect. Br J Ophthalmol. 2013 Jun;97(6):752-6.
학회발표
2022년 ASCRS (Americ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Bilateral Acute Angle Closure and Myopic Shift after Using a Weight Loss Medication

2019년 ASCRS (Americ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Effect of Phacoemulsification on Intraocular Pressure in Pseudoexfoliative Eyes with or without Glaucoma over 3 Years. 녹내장 분야 베스트 포스터상 세계 3위 수상

2015년 AACGC (Asian Angle Closure Glaucoma Club; 아시안 폐쇄각 녹내장학회)
Patterns of glaucoma progression in retinal nerve fiber and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in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2016년 AAO (American Academy of Opthalmology; 미국안과학회)
Glaucoma Diagnostic Ability of Layer-by-Layer Segmented Ganglion Cell Complex by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이정우
원장
투데이라섹
안구건조증
학력 / 경력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졸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 의학석사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전공의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임상강사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망막 분과 전임의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망막 분과 임상조교수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지도전문의 역임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외래교수
학회활동
대한안과학회 (KOS) 정회원
한국 백내장 굴절수술 (KSCRS) 학회 정회원
유럽 백내장 굴절수술 (ASCRS) 학회 정회원
아시아태평양안과학회 (APAO) 정회원
미국시과학안과학회 (ARVO) 정회원
한국외안부학회 (KEEDS) 정회원
한국콘택트렌즈학회 정회원
문치영
원장
스마트라식
드림렌즈
학력 / 경력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 의학석사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전공의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임상강사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망막 분과 전임의 수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 외래교수
대한민국 국방부 의무실 안과 과장 역임
학회활동
대한안과학회 (KOS) 정회원
미국안과학회 (AAO) 정회원
한국외안부학회 (KEEDS) 정회원
한국콘택트렌즈학회 정회원
한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KSCRS) 정회원
정세윤
원장
안구건조증
드림렌즈
학력 / 경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안과 전공의 수료
영등포 김안과병원 녹내장 분과 전임의 수료
영등포 김안과병원 녹내장 분과 임상조교수 역임
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 외래교수
목포 3함대 의무대 군의관 역임
학회활동
대한안과학회 (KOS) 정회원
미국안과학회 (AAO) 정회원
한국외안부학회 (KEEDS) 정회원
한국콘택트렌즈학회 정회원
한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KSCRS) 정회원
미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ASCRS) 정회원
한선협
원장
투데이라섹
드림렌즈
안구건조증
학력 / 경력
University of Pennsylvania Bioengineering 졸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졸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석사학위 수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 세브란스병원 인턴 수료
삼성의료원 삼성서울병원 안과 전공의 수료
성균관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안과 외래교수
국군포천병원 안과 과장 역임
학회활동
대한 안과학회(KOS) 정회원
미국 안과학회(AAO) 정회원
한국 백내장 굴절수술학회(KSCRS) 정회원
미국 백내장 굴절수술학회(ASCRS) 정회원
미국 외안부학회(ASOPRS) 정회원
대한안과의사회 정회원
논문
Han SH, Kim YD, Jang J, Park JW, Young SM, Woo KI.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volving the eye and ocular adnexa in East Asia. Acta Ophthalmol. 2021 Nov;99(7):773-782.
아시아인의 안구와 부속기에 발생한 림프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결과를 연구한 논문으로 2019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미국안과학회/미국성형안과학회에서 포스터 발표에 선정되어 개재됨.

Han SH, Park YM, Seo SK, Park KA, Lee WT, Lee JE. Restorative benefits of transplanting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overexpressing arginine decarboxylase genes after spinal cord injury. Cytotherapy. 2015 Jan;17(1):25-37.
줄기세포를 이용한 척수신경치료를 통해 신경 재생효과를 확인한 연구

Han SH, Oh SY, Park KA. Clinical Features of Acute Opthalmoplegia Associated with Anti-GQ1b Antibody.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9 Dec 15;60(12):1284-1289.
밀러-피셔 신드롬에서 발생하는 안구마비의 임상적 특징

Han SH, Kim YD, Woo KI. Primary Localized Amyloidosis in Extraocular Muscle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9 Jan;60(12):1301.
외안근에서 발생한 국소성 원발 아밀로이드증에 대해 연구

Lee KH, Han SH, Yoon JS. Implications of enlarged infraorbital nerve in idiopathic orbital inflammatory disease. Br J Ophthalmol. 2016 Sep;100(9):1295-300.
Han JC, Han SH, Park DY, Lee EJ, Kee C. Clinical Course and Risk Factors for Visual Field Progression in Normal-Tension Glaucoma With Myopia Without Glaucoma Medications. Am J Ophthalmol. 2020 Jan;209:77-87.
Jung JW, Han SH, Park SY, Kim EK, Seo KY, Kim TI. Effects of Pigment Location in Tinted Contact Lenses on the Ocular Surface. Optom Vis Sci. 2016 Aug;93(8):997-1003.
Kim JW, Han SH, Son BJ, Rim TH, Keum KC, Yoon JS. Efficacy of combined orbital radiation and systemic steroids in the management of Graves' orbitopath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6 May;254(5):991-8.
Shin YK, Han SH, Kang SW, Kim SJ, Kim AY. Myopic foveal detachment associated with pachychoroid characteristics. BMC Ophthalmol. 2021 Jul 28;21(1):288.
Jung JW, Han SH, Kim SA, Kim EK, Seo KY, Kim TI. Evaluation of pigment location in tinted soft contact lenses. Cont Lens Anterior Eye. 2016 Jun;39(3):210-6.
Lee KH, Han SH, Yoon JS. Case Reports of Lacrimal Sac Tumors Discovered in Patients with Persistent Epiphora Following Dacryocystorhinostomy. Korean J Ophthalmol. 2015;29(1):66-67.
Lee KH, Han SH, Yoon JS. Successful treatment of orbital lymphangioma with intralesional bleomycin and application of continuous negative pressure. Korean J Ophthalmol. 2015 Feb;29(1):70-2
Kim J, Lim DH, Han SH, Chung TY.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axial length growth and myopia progression in orthokeratology. PLoS One. 2019 Jun 12;14(6):e0218140.
Jung JW, Kim SM, Han SH, Kim EK, Seo KY, Kim TI. Effect of the pigment-free optical zone diameter of decorative tinted soft contact lenses on visual function. Br J Ophthalmol. 2016 May;100(5).
Jung JW, Chung BH, Han SH, Kim EK, Seo KY, Kim TI. Comparison of Measurements and Clinical Outcomes After Wavefront-Guided LASEK. J Refract Surg. 2015 Jun;31(6):398-405.
Lee GW, Lee SE, Han SH, Kim SJ, Kang SW.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epiretinal membrane due to peripheral break. Sci Rep. 2020 Nov 30;10(1):20881.
Chun J, Kim Y, Shin KY, Han SH, Oh SY, Chung TY, Park KA, Lim DH. Deep Learning-Based Prediction of Refractive Error Using Photorefraction Images Captured by a Smartphone: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JMIR Med Inform. 2020 May 5;8(5):e16225.
Shin E, Yoo YS, Choi SH, Han SH, Lim DH, Yoon GJ, Chung TY. Clinical outcomes of topography-guided femtosecond laser-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after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Sci Rep. 2020 Jun 30;10(1):10666.
학회발표
2019년 AAO/ASOPRS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American Society of Ophthalmic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미국안과학회/미국성형안과학회)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volving the eye and ocular adnexa in East Asia.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약속
지역사회와 더불어 더 넓은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발전하며, 따뜻한 나눔을 실천하고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평생 안과 주치의로 함께 동행하겠습니다.
다양한 안과 질환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토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진행합니다.
자세히 보기
병원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환자의 권리와 의무
비급여안내
예약문의
LOCATION
오시는길
CLINIC HOURS
진료시간
평일
09:00 ~ 18:00
토요일
09:30 ~ 13:00 (점심시간 없음)
점심시간
13:00 ~ 14:00
천안김안과천안역본점
대표원장 정도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중앙로 92
사업자등록번호 312-29-54657
대표전화 041) 551-1082
FAX 041) 555-2051
Copyright ⓒ 2024 천안김안과. All rights reserved.